감정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그것에 휘둘릴 때 우리는 판단을 흐리고 관계를 망칠 수 있습니다. 『명심보감』은 “화는 참을수록 복이 되고, 감정은 다스릴수록 지혜가 된다”라고 가르치며, 감정의 통제가 인생을 바꾼다고 전합니다. 이 글에서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지혜롭게 다스리는 방법을 고전의 가르침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감정은 나의 주인이 아니라 내가 다스려야 할 대상이다
사람은 누구나 기쁨, 슬픔, 분노, 불안 등 다양한 감정을 느끼며 살아갑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문제는 감정이 나를 지배할 때 발생합니다. 순간의 분노로 관계를 망치고, 조급한 판단으로 실수를 저지르며, 불안과 두려움으로 기회를 놓치기도 합니다.
『명심보감』 "성심편(省心篇)"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화를 참으면 백 가지 근심을 면한다(一忍百慮息).”
이 말은 감정에 휘둘리는 것을 참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그로 인해 얼마나 많은 문제를 피할 수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감정은 나의 주인이 아니라, 내가 다스려야 할 손님입니다. 그것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되, 행동의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감정은 순간이지만, 그에 따른 행동은 지속적인 결과를 남깁니다.
따라서 감정이 올라올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멈추고 바라보는 것’입니다.
명심보감이 전하는 감정 조절의 지혜
『명심보감』은 감정을 조절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여러 편에서 강조합니다. "치정 편(治政篇)"에서는
“감정이 먼저 움직이면 지혜는 뒤로 물러난다(情先則智退).”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는 감정이 앞서면 판단력과 분별력이 흐려지고, 결국 지혜롭지 못한 선택을 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명심보감』 "계선 편(繼善篇)"에는
“화는 바람처럼 지나가지만, 말은 상처로 남는다(怒如風過 言如刀刻).”
라는 경고도 실려 있습니다. 순간의 감정으로 내뱉은 말이 얼마나 오랫동안 상대의 마음을 다치게 할 수 있는지를 강조한 구절입니다.
이처럼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면 인간관계, 사회생활, 자기 성장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정 조절은 단순한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기술이며, 반드시 훈련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기 위한 5가지 실천법
감정을 다스리는 것은 단순히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고 이해하며 반응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명심보감』의 교훈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실천법입니다.
1. 감정을 바라보는 연습
감정이 올라올 때, “나는 지금 화가 났다”, “나는 불안하다”라고 그 감정을 관찰자 시점에서 바라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이렇게 ‘감정 분리’를 하면 즉각적인 반응을 줄이고 이성적인 대응이 가능해집니다.
2. 말과 행동은 잠시 멈추기
『명심보감』은
“말은 덜어도 후회는 줄고, 화는 참아야 근심이 없다(言少悔少 忍怒無憂).”
고 전합니다. 감정이 격할 땐 즉각적인 반응보다 침묵과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10초만 멈추면 말과 행동이 바뀝니다.
3. 감정을 글로 써보기
감정을 억누르기보다 일기나 메모로 표현하는 것은 감정을 객관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분노, 불안, 실망 등의 감정을 적고 보면,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이해하게 됩니다.
4. 규칙적인 루틴과 쉼
몸과 마음이 피곤할수록 감정 조절은 어려워집니다. 규칙적인 수면, 가벼운 운동, 명상이나 호흡 조절은 감정을 다스리는 기반이 됩니다.
5. 관용과 이해의 관점 갖기
『명심보감』은
“상대를 탓하기 전에, 내 마음을 먼저 돌아보라(責人先自省).”
고 말합니다. 감정은 관계 속에서 더 쉽게 발생합니다. 상대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면 감정도 누그러지고 이해가 시작됩니다.
감정을 다스리는 사람이 삶을 이끈다
『명심보감』은 말합니다.
“감정을 이기는 자가 진정한 강자다(能勝情者 為丈夫).”
자기감정을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은 어떤 상황에서도 중심을 잃지 않고, 지혜로운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삶은 곧 관계의 평화, 인생의 안정, 성장의 기반입니다.
오늘 하루, 감정에 반응하기보다 감정을 바라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그 작은 연습이 쌓이면, 당신은 감정이 아닌 지혜로 살아가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