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역 입문 시리즈 3편] 무역 계약서 작성 시 꼭 알아야 할 항목들

by hoyadad 2025. 4. 2.
반응형

무역 계약서 작성하기

무역 계약이란?

무역 계약은 수출자와 수입자 간에 거래 조건을 문서로 명시한 공식적인 약속입니다. 이 계약은 제품, 수량, 가격뿐 아니라 운송 조건, 보험, 결제 방식, 불량발생 시 처리 규정, 법적 책임까지도 포함해야 합니다.
단순한 구두 약속으로는 오해가 발생하기 쉽고, 분쟁 발생 시 법적 효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서면 계약이 필수입니다.

실제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계약서를 생략하거나 간단히 작성했다가, 대금 미지급, 불량 제품 수입, 계약 위반 등으로 손해를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역 계약서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항목들

무역 계약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1. 계약 당사자 정보

  • 수출자(판매자)와 수입자(구매자)의 정확한 회사명, 주소, 연락처, Zip Code No.
  • 법적 분쟁 발생 시 책임 소재 명확화

2. 상품의 명칭 및 규격

  • 제품 이름, 모델명, 크기, 포장 방식까지 구체적으로 명시
  • 예: "Organic Green Tea Powder, 500g x 50 bags"

3. 수량 및 단가

  • 총 수량, 단위당 가격, 총액
  • 통화 단위(USD, EUR 등) 명확히 기재

4. 인코텀즈 조건 (Incoterms 2020)

  • 운송 중 책임과 비용 부담 범위 결정
  • 예: FOB, CIF, EXW 등
    → 예시: “FOB Busan Port”는 수출자가 선적항까지 책임진다는 뜻

5. 결제 조건

  • 결제 방식: L/C, T/T, D/P 등
  • 결제 시점: 선불, 후불, 또는 부분지급
  • 환율 변동 시 적용 기준

6. 납기일 및 선적항 / 도착항

  • 제품 준비 완료일, 출발항과 도착항 명시
  • 납기 지연 시 페널티 조건 포함 권장

7. 보험 및 리스크 분담

  • 누가 보험을 가입할지 (수출자/수입자)
  • 어떤 위험까지 보장할지 명확히 기재

8. 검사 및 클레임 조건

  • 제품 품질 검사 방법
  • 클레임 제기 가능 기한 (예: 제품 수령 후 7일 이내)

9. 관할 법률 및 중재 조항

  • 분쟁 발생 시 적용할 법률 (예: "This contract shall be governed by Korean Law.")
  • 중재 장소: 서울, 싱가포르 등

무역 계약서 간단 예시 (샘플)

 

📄 무역 계약서 간단 예시 (샘플)

Contract No.: 2025-03  
Date: April 1, 2025

Buyer: Japan Foods Inc.  
Address: 2-1-3 Nihonbashi, Tokyo, Japan  
Tel: +81-3-1234-5678  
Email: buyer@japanfoods.co.jp

Seller: KOREA TEA Co., Ltd.  
Address: 88-10 Teheran-ro, Gangnam-gu, Seoul, Korea  
Tel: +82-2-9876-5432  
Email: export@koreatea.co.kr

Product: Organic Green Tea Powder  
Specification: 500g/pack × 1,000 packs  
Unit Price: USD 15.00/pack  
Total Amount: USD 15,000

Terms of Delivery: CIF Tokyo Port (Incoterms 2020)  
Payment Terms: 100% T/T in advance  
Shipment Date: No later than May 30, 2025  
Packing: Standard export carton  
Insurance: To be covered by the seller  
Inspection: Seller’s inspection before shipment  
Governing Law: Korean Law  
Arbitration: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Seoul)

Authorized Signatures:  
_________________________  (For Buyer)  
_________________________  (For Seller)

무역 계약 전 체크리스트

  • ✅ 상대 기업의 신뢰도 확인 (무역협회, 무역보험공사 활용)
  • ✅ Incoterms 조건 충분히 이해하기
  • ✅ 외국어 계약서라면 반드시 전문 번역 검토
  • ✅ 중요한 조건은 계약서 본문 + 별도 조항으로 강조
  • ✅ 전자 서명 또는 원본 문서 PDF로 보관

초보자에게 전하는 팁

  • 계약 전에 상대방의 신용도실적을 조사하세요.
  • 계약서 없이 출고하거나 결제부터 받지 않는 거래는 매우 위험합니다.
  • 제품이 도착한 후 문제가 생기면 계약서가 유일한 보호 장치가 됩니다.

마무리하며

무역 계약은 거래의 시작이자, 문제 발생 시 법적으로 자신을 보호해 주는 가장 강력한 도구입니다. 초보자일수록 꼼꼼하게 계약서를 작성하고,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나 무역 컨설턴트의 검토를 받는 것도 추천합니다.

 

→ 다음 글 예고:
[4편] 무역 거래의 기본 흐름과 실제 사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