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출입 계약서 가이드 시리즈 1편] 수출입 계약서, 왜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가?

by hoyadad 2025. 4. 29.
728x90

수출입 계약서 가이드 1편.pdf
0.07MB

1. 수출입 계약서란 무엇인가?

수출입 계약서는 수출자(매도인)와 수입자(매수인) 간에 이루어지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거래 조건을 명확히 규정한 공식 문서입니다. 단순한 구두 약속이나 견적서, 인보이스와는 다르게,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양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작성 이유 요약:

  • 거래 조건(가격, 수량, 품질 등) 명시
  • 분쟁 발생 시 법적 대응 근거
  • 신용장(L/C) 개설이나 통관 시 필수 증빙
  • 클레임(Claim) 또는 손해 발생 시 보상 기준 제시

수출입 계약서, 왜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가?

2. 수출입 계약서 미작성의 위험성

계약서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거나, 아예 작성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위험이 따릅니다.

  구  분                                       위험요소                                                 사    례 
거래 조건 분쟁 품질, 수량, 납기 불일치 바이어가 주문량 10% 부족 주장
결제 문제 대금 미수금 발생 송장 기준 결제 주장이 충돌
클레임 대응 실패 손해배상 책임 논란 운송 중 파손 책임 공방
소송/중재 발생 관할권, 법 적용 문제 한국 vs 해외 법원 선택 문제

👉 요약: 계약서 한 장 없어서 수천만 원 손실을 입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3. 수출입 계약서 작성 기본 구조

초보 실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가장 기본적인 틀을 소개합니다.

기본 구성요소

  1. 계약 당사자(SELLER, BUYER) 정보
  2. 품목 및 사양(SPECIFICATIONS)
  3. 수량 및 가격(QUANTITY & PRICE)
  4. 인도조건(INCOTERMS 규정 반영)
  5. 결제조건(PAYMENT TERMS)
  6. 포장 및 라벨링 조건(PACKING & MARKING)
  7. 선적 및 통관 조건(SHIPMENT & CUSTOMS)
  8. 품질검사 및 클레임(QA & CLAIMS)
  9. 불가항력 조항(FORCE MAJEURE)
  10. 준거법 및 분쟁해결(GOVERNING LAW & DISPUTE RESOLUTION)

4. 초보자가 주의해야 할 3대 포인트

  포인트                               설  명                                            실무 팁
1. Incoterms 정확히 표기 FOB, CIF 조건만 써도 불충분 "2020 FOB INCHEON, KOREA"처럼 연도와 장소까지 명시
2. 결제 방법 구체화 단순히 "T/T 결제"라 적으면 위험 선지급 비율, 지급 시점 명확히 기재
3. 클레임 조건 설정 불명확하면 분쟁 시 불리 "Inspection at destination within 7 days of arrival" 같은 기한 명시

✍️ 마무리:

"수출입 계약서 = 거래 리스크를 줄이는 가장 강력한 보험"입니다.
시작은 어렵지만, 한 번 제대로 틀을 잡아놓으면 향후 계약마다 간단한 수정만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2편에서는
👉 「수출입 계약서 필수 조항 상세 설명 (SELLER/BUYER 항목부터)」
주제로 이어가겠습니다.

📥 수출입 계약서 가이드 1편 PDF 다운로드

수출입 계약서, 왜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가?

PDF 파일입니다.

실무에 바로 활용하세요!

다운로드하기 (PDF 파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