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왜 수량, 가격, 납기 조건을 명확히 해야 하는가?
수출입 거래에서는 상품의 수량, 가격, 납기일이 거래 성사의 핵심입니다.
이 3가지를 모호하게 적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 목 문제 발생 사례
수량 | 발주 수량과 실제 선적 수량 불일치 |
가격 | 환율 변동 시 단가 해석 차이 |
납기 | 지연 시 위약금, 계약 해지 분쟁 |
✅ 결론: 이 세 가지는 숫자와 날짜로 구체적으로, 오해의 여지 없이 작성해야 합니다.
2. 수량(QUANTITY) 조건 작성법
2.1 명확한 수량 단위 지정
- PCS, SET, KG, METER 등 반드시 단위 명기
- 단순히 "1000"만 쓰지 말고 "1000 PCS"처럼 작성
예시 문구
Quantity: 1,000 PCS
Tolerance: +/- 5% allowed
※ Tolerance(허용 오차 범위) 설정은 선적 시 약간의 초과/부족을 허용할 수 있어 실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3. 가격(PRICE) 조건 작성법
3.1 단가(Unit Price)와 총액(Total Amount) 분리 명기
- 단가 기준(예: USD per PCS) 명확히 작성
- 계약 총액을 명시해 대금 산정 혼선을 방지
예시 문구
Unit Price: USD 10.00 per Piece (FOB INCHEON PORT)
Total Amount: USD 10,000.00
3.2 Incoterms 반영
- FOB, CIF, DAP 등 조건에 따라 가격 범위가 달라짐
- 반드시 가격 옆에 Incoterms를 함께 명시
4. 납기(DELIVERY DATE) 조건 작성법
4.1 구체적 날짜 명시
애매한 표현 금지: "빠른 시일 내" → X
정확히 "2025년 6월 30일까지 선적"처럼 명시해야 합니다.
예시 문구
Shipment Date: On or before June 30, 2025
4.2 부분 선적(Partial Shipment) 허용 여부 명시
- 부분 선적 허용 여부를 계약서에 명확히 넣어야 합니다.
예시 문구
Partial Shipment : Allowed / Not Allowed
4.3 지연 시 책임 조항
납기 지연 시 지체상금(Liquidated Damages) 규정을 삽입하면 거래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예시 문구
In case of shipment delay, Seller shall pay 0.5% of the contract value per week of delay as liquidated damages.
5. 실전 작성 샘플
QUANTITY: 1,000 PCS (+/-5% tolerance allowed)
UNIT PRICE: USD 10.00 per Piece (FOB INCHEON PORT)
TOTAL AMOUNT: USD 10,000.00
SHIPMENT DATE: On or before June 30, 2025
PARTIAL SHIPMENT: Not Allowed
LIQUIDATED DAMAGES: 0.5% of total contract value per week of delay
UNIT PRICE: USD 10.00 per Piece (FOB INCHEON PORT)
TOTAL AMOUNT: USD 10,000.00
SHIPMENT DATE: On or before June 30, 2025
PARTIAL SHIPMENT: Not Allowed
LIQUIDATED DAMAGES: 0.5% of total contract value per week of delay
✍️ 마무리:
"수량, 가격, 납기" 세 가지를 명확히 규정하는 것만으로도
수출입 거래의 80% 리스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납기일과 지체상금 조항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은
바이어 신뢰를 얻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 수출입 계약서 가이드 시리즈 바로 가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