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포장, 운송, 통관 조건도 계약서에 넣어야 할까?
네, 반드시 필요합니다.
포장(Packing), 운송(Shipping), 통관(Customs Clearance) 조건은
물류 사고나 비용 분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 파손된 포장 → 바이어 반품 및 손해배상 요청
- 운송 지연 → 납기 불이행 클레임
- 통관 서류 미비 → 제품 반입 지연 및 과태료 발생
✅ 계약서에 이 조건들을 명확히 반영하면 물류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포장 조건(Packing Clause)
🔹 꼭 포함해야 할 요소
- 포장 방식 (내포장/외포장 구분)
- 라벨링 위치 및 내용
- 재질 및 내구 기준
예시 문구:
The goods shall be packed in export standard cartons suitable for sea freight, with inner plastic wrapping to prevent moisture. Each carton shall be clearly labeled with product name, model number, quantity, and country of origin.
실무 팁:
“EXPORT STANDARD PACKING”이라는 표현은 기본이나, 반드시 구체화해야 실효성 있음.
3. 운송 조건(Shipping Clause)
🔹 반드시 기재해야 할 내용
- 선적 항구 및 도착지 항구
- 선적 마감일(Shipment Deadline)
- 운송 수단(해상/항공)
- 부분선적 허용 여부 (Partial Shipment)
- 환적 허용 여부 (Transshipment)
예시 문구:
The shipment shall be made by sea from INCHEON PORT to HAMBURG PORT on or before July 31, 2025. Partial shipment is not allowed. Transshipment is allowed.
4. 통관 조건(Customs Clause)
🔹 수출입자 간 책임 구분 명확히
- 누가 수출통관/수입통관을 하는지
- 서류는 누가 제공하는지
예시 문구:
The Seller shall be responsible for export customs clearance and shall provide the Buyer with all necessary documents including commercial invoice, packing list, and certificate of origin.
The Buyer shall handle import clearance at destination and bear related taxes and duties.
The Buyer shall handle import clearance at destination and bear related taxes and duties.
실무 팁:
INCOTERMS와 반드시 연계. (예: FOB는 수출통관까지가 매도자 책임)
5. 포장·운송 관련 클레임 방지 문구
예시 문구 (운송 중 파손 대비):
All packages shall be properly secured for transportation.
The Seller shall not be responsible for any damage caused after shipment unless due to improper packing.
6. 요약 정리
항 목 필수 기재 요소
포장 | 내포장/외포장, 라벨, 재질 |
운송 | 출발/도착지, 선적 마감일, 운송 방식, 환적/부분선적 여부 |
통관 | 수출입자 간 책임 분리, 제출 서류 명시 |
✅ 계약서에 포장·운송·통관 조항을 정리하면
물류사고, 비용 분쟁, 클레임 리스크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다음 8편 예고:
「분쟁해결 조항 작성법 – 준거법, 관할법원, 중재 조건 설정 방법」
📚 수출입 계약서 가이드 시리즈 바로 가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