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수출 유망 품목 분석 시리즈 9편] 디지털 헬스케어·의료기기 수출 전략 – 기술과 규제가 만나는 시장

by hoyadad 2025. 4. 19.
728x90

디지털 헬스케어와 의료기기는 전통적인 제조 수출품과는 달리,
의료법·전기전자 인증·임상데이터·소프트웨어 규정까지 복합적으로 충족해야 하는 고난이도 품목군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고령화, 비대면 진료, 재택 건강관리 수요 증가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2025년 현재 한국은 체온계·혈압계·진단기기·의료센서뿐 아니라
스마트 밴드, 모바일 연동 건강 모니터링 장비, AI 기반 진단 솔루션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기술+빠른 납기+문서 대응력”의 강점으로 수출 확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의료기기도 수출된다!

🔍 주요 HS코드 및 수출 유망 품목

   HS코드         품목군                                                  수출 예시
9018 의료기기 혈압계, 체온계, 진단 키트, 청진기, 기계식 장비
9027 분석·측정기기 혈당측정기, 호흡기 측정기, 분석 장비
8543 전자식 의료장비 AI 진단 디바이스, 스마트 측정기, 디지털 검사기
3002 진단용 시약 혈액·코로나·소변 진단 키트

✅ 의료기기류는 대부분 의료기기법 규제 품목으로 분류되며, CE·FDA·ISO13485 인증 외에도
전기안전 규격, 방사선·전자파 기준, EMF 인증까지 요구될 수 있습니다.


📈 시장 트렌드 및 수출 확장 배경

  • 비대면 건강관리 확산 → 가정용 측정기, 웨어러블 장비 수요 폭증
  • AI 기반 진단기기 증가 → 질병 조기 발견/비용절감 수단으로 주목
  • 고령화 가속 → 자가 진단기기·홈케어 장비 공급 확대
  • 국가 의료시스템 자동화 → 공공 조달용 스마트기기 수출 기회 증가

📌 실제로 2024년 한국의 디지털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대비 약 13.4% 증가했으며,
베트남, 콜롬비아, UAE 등에서는 한국산 혈압계·혈당계가 일본·중국산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 수출국별 전략 포인트

    국  가                                  특   징                                                            대응 전략
미국/EU 인증 중심, 소프트웨어 포함 규제 철저 CE·FDA 인증 + 의료기기분류코드 고시 확보
베트남/필리핀 병원·약국 납품 확장 혈압계·체온계 + 사용자 매뉴얼 다국어 구성
UAE/사우디 병원 장비 자동화 중 터치형 기기, AI 솔루션 포함 진단기기 제안
남미 (페루/콜롬비아) 조달시장 중심 제안서 패키징, 납기 보장, 설치지원 포함 제안 유리

💡 헬스케어 앱과 연동되는 기기의 경우 개인정보 보호 관련 국가별 규제도 고려해야 하며,
미국·유럽은 HIPAA/GDPR을, 동남아는 현지 의료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수출 실무 체크리스트

  1. 제품 메뉴얼 + 성능 시험 리포트 + 인증서 세트 구성 필수
  2. 전기/전자기기: CE(EMC, LVD), FDA 510(k), KC 등 기술 기준 확보 필요
  3. 앱 연동 제품은 개인정보 보안 설명서/데이터 수집 범위 문서 요구 가능
  4. 설치 가이드 영상, QR코드 설명자료 제공 → 바이어 대응력 상승
  5. 제품별 기능 비교표 + 바이어 맞춤형 제안서 활용 효과 높음

💼 실전 수출 사례: 스마트 혈압계 + 체온계 세트 수출

  • 국가: 칠레 공공의료 프로젝트
  • 구성: 블루투스 연동형 혈압계 + 적외선 체온계 + 앱 설명서
  • 전략: 현지 조달기업과 공동입찰 / 설치 교육 영상 제공
  • 성과: 공공 병원 35곳에 연 2회 납품 계약 체결
  • 차별점: 스페인어 번역 자료 + WHO 기준 통과 인증서 동시 제공

🔐 인증 및 규제 비교

    항  목                               미  국                            EU                                               동남아
의료기기 인증 FDA 510(k) CE MDR 등록 + 일부 품목만 인증
전기안전 규제 UL or NRTL LVD KC 또는 별도 없음
앱 보안 HIPAA GDPR 국가별 상이
통관 서류 ECCN 포함 임상기록 요약 포함 도입허가서 요함

📘 다음 편 예고

10편에서는 농식품·가공식품·친환경 먹거리(HS 2009, 2106, 2202 등) 수출 전략을 다룹니다.
비건식품, 건강음료, 기능성 스낵 등 신흥시장 중심의 트렌드를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