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수출 유망 품목 분석 시리즈5편] 기계·기계부품, 자동화의 시대가 만든 수출 기회

by hoyadad 2025. 4. 19.
728x90

기계류는 산업의 혈관입니다.
2025년에도 한국의 기계 수출은 스마트팩토리·에너지 전환·위생 산업·플랜트 산업 등 글로벌 흐름 속에서 핵심 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포장기계, 금속가공기계, 유압장치, 냉각기, 산업용 밸브류 등은 중소기업 중심의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아, 중견·강소기업의 전략 품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설계 제안 → 납품 → 설치 → 시운전 → 유지관리까지 아우르는 ‘기술 동반형 수출 모델’이 수출 성패를 좌우하는 구조로 바뀌고 있습니다.


포장기계부터 밸브까지, 기계 수출 핵심 정리

🔍 HS코드 기준 기계 수출 핵심 품목

  HS코드             품목군                                             주요 예시  
8422 포장·세척기계 라벨링기, 병세척기, 충전기
8477 플라스틱 성형기 사출기, 압출기, 필름성형기
8457 금속가공 공작기계 CNC 선반, 드릴링머신
8419 열교환기·건조기 냉각기, 열풍건조기, 히터
8481 유체 제어기기 유압밸브, 자동조절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 HS 84류는 기계류와 그 부속품을 포괄하며, 사전 FTA 품목분류 사전심사와 기술문서 제출을 통해 통관 리스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기계류 수출 트렌드 & 구조 변화

  • 자동화 기계 수요 급증: 스마트 공장 도입이 동남아·중동에서도 가속
  • 식품·의약품 위생 설비 확대: GMP/ISO 기준 기계 수요 증가
  • ESG·탄소중립 대응: 고효율 열교환기, 에너지 절감형 설비 인기
  • 플랜트 발주 증가: 내열·방폭 기능의 밸브류 중심 수출 증가

또한, FTA 체결국가에서의 기계 수입관세 감면은 실질적인 수출단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예: 한-베트남 FTA → 기계류 대부분 0% 관세 혜택 적용 가능


🌍 주요 국가별 진출 전략

    국  가                                특  징                                                         대응 전략  
베트남/인도네시아 중소 식품·화장품 공장 다수 보급형 자동기계, 교육형 시운전 계약 유리
사우디/UAE 플랜트·석유화학 프로젝트 활발 방폭형 밸브·고내열 설비, 설치 서비스 포함
터키/폴란드 EU 기술 표준 채택 CE 인증, 전압·주파수 사양 맞춤화 필수
멕시코/칠레 FTA 수혜국, 수요 꾸준함 식품가공용 포장기계, 모듈형 설비 제안 효과적

🌐 EU·중동·미국 바이어는 장기 A/S 가능 여부와 기술지원 대응력을 구매 조건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매우 강합니다.


🛠️ 실무 체크리스트: 수출 전 반드시 준비할 것

  1. 설계도, 작동 매뉴얼, CE·UL 인증서는 상담 단계부터 요청될 수 있음
  2. "FTA 원산지증명서(Form FTA)"는 선적 시 동봉해야 관세 혜택 적용
  3. 시운전 영상, 현장 설치 사례 자료는 신뢰 확보에 효과적
  4. 소모품 세트 및 유지보수 부품 가격표 포함 제안서가 재계약을 유도
  5. 인력 파견 가능 여부와 범위 명시 → 설치 불만 방지

📌 실패 사례 주의: 설치 후 전압 차이로 작동 오류 발생 → 전기 사양 문서 미제공이 원인
→ 교훈: 계약서 내에 현지 전력 사양 및 설치 범위 포함 필수


🧩 전시회 & 신규 바이어 발굴 팁

  • 중동 BIG5, 독일 Hannover Messe, 태국 ProPak 등 전시회 출품 시
    👉 미리 바이어 타겟 설정 → 사전 브로셔 발송 → 현장 시연 유도 전략 추천
  • SNS/LinkedIn에서 기계설비 바이어 그룹, 조달 플랫폼 적극 검색
  • KOTRA 수출상담회 활용 시, 장비 동영상 자료 준비하면 상담 성사율 2배 이상 증가

📦 실전 사례: 자동 라벨링기 수출 (HS 8422.30)

  • 국가: 베트남 중소 식품업체
  • 공급모델: 회전형 병용 자동 라벨러
  • 전략: 샘플 1대 공급 후 테스트 시운전 → 본계약 6대 체결
  • 특이점: CE 인증 + 베트남어 매뉴얼 포함, 현장 방문 시 설치 교육 제공
  • 결과: 1년 내 동일 업종 3개 업체 추가 수출 연계 성공

📘 다음 편 예고

6편에서는 플라스틱·합성수지(HS 3901~3926) 수출 전략을 소개합니다.
재활용 원료 기반의 포장 필름, 산업용 시트, 생분해성 소재의 유망 시장을 분석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