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보이스5

[실전 사례로 배우는 계약 리스크 대응 가이드 5편] “선적은 했는데, 수입자가 통관을 못 합니다” – 서류 불비의 책임은? 1. 실전 사례: 선적은 했지만, 통관에서 막혔다금속 부품을 수출하는 I사는 인도 바이어 J사와 거래를 체결하고, 선적도 무사히 마쳤습니다. 그러나 인도 측 세관에서 통관이 보류되었습니다. 이유는 송장(INVOICE)에 HS코드와 품목명이 누락되어 있었고, 원산지 증명서(C/O)도 미제출 상태였기 때문입니다.J사는 통관 지연으로 창고료와 물류 비용이 발생했고, 이를 이유로 I사에 손해배상을 요구하며 일부 결제 지연까지 단행했습니다. 문제는 계약서에서 무역서류의 책임 분담 기준이 불명확했던 것입니다.2. 문제 분석: 무역서류는 '계약의 일부'로 간주해야 한다무역 거래에서 가장 흔한 클레임 원인 중 하나는 수입국 통관 요건 미충족입니다. 실무자들은 종종 서류 작성이 '기계적 처리'라고 생각하지만, 바이어가 .. 2025. 5. 16.
[무역 용어 마스터 시리즈 5편] 무역 서류 종류 총정리 – B/L부터 인보이스까지 한눈에 정리 무역 거래는 단순한 상품의 이동을 넘어서 수많은 서류의 흐름으로 이루어집니다.서류를 정확하게 작성하고, 정해진 기한 내에 제출하는 것이 수출입 거래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신용장 거래나 통관 절차에서는 서류 하나의 오류가 대금 미회수, 지연통관, 클레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무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요 서류 10가지를 정리하고, 각각의 역할, 발행 주체, 제출 대상을 실무 중심으로 설명드립니다.📌 1. 상업송장 (Commercial Invoice)누가 발행? 수출자누구에게? 수입자, 은행, 세관용도: 거래금액, 품명, 조건 등을 명시한 청구서Tip: 송장 내용은 신용장 조건, 계약 내용과 완벽히 일치해야 함📌 2. 포장명세서 (Packing List)누가 발행?.. 2025. 4. 22.
[무역 실무 Q&A 시리즈 2편] 송장과 패킹리스트, 왜 따로 만들어요? 수출 업무를 처음 접하면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가 “인보이스하고 패킹리스트 만들어줘”입니다."둘 다 그냥 물품 내역 아니야?" 싶지만, 이 둘은 분명한 차이가 있고, 무역 실무에서 각각의 역할이 뚜렷합니다. 지금부터 그 이유를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송장(Invoice)과 패킹리스트(Packing List), 왜 둘 다 필요할까?초보 무역 실무자라면 이런 의문을 가져본 적 있을 겁니다.“송장에 물품 정보가 다 들어 있는데, 왜 굳이 패킹리스트를 따로 만들어야 하죠?”송장과 패킹리스트는 모두 무역 서류 중 가장 기본적인 필수 문서입니다.하지만 두 서류는 용도도 다르고, 사용하는 기관도 다릅니다.서로 보완적인 관계이지만, 기능이 명확히 나뉘어 있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반드시 각각 준비해야 하는 문서.. 2025. 4. 8.
[무역 입문 시리즈 6편] 무역 서류 완전 정리 – 수출입 시 꼭 알아야 할 10가지 문서 무역은 단순히 상품을 사고파는 거래가 아닙니다. 그 중심에는 언제나 "서류(Document)"가 있습니다. 무역에서 서류는 곧 신뢰이며, 배송, 결제, 세관, 클레임 처리 등 거의 모든 절차가 서류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번 편에서는 무역 초보자도 꼭 알고 있어야 할 10가지 핵심 서류를 수출과 수입 각각으로 나누어 정리해드립니다.✅ 1. 상업송장 (Commercial Invoice)수출자가 발행하는 청구서입니다.수출자와 수입자 간의 거래 내용을 명시한 문서입니다.물품의 종류, 수량, 단가, 총액, 거래 조건, 선적 정보 등이 기재되며,수입국 세관이 관세를 계산 및 통관 심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역할: 대금 청구 + 과세 자료중요도: ★★★★★✅ 2. 포장명세서 (Packing List)상품의 .. 2025. 4. 2.
[무역 입문 시리즈 5편] 수출입 통관 절차 완벽 정리 – 실무 흐름과 서류 준비까지 무역을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가장 낯설고도 복잡하게 느껴지는 절차 중 하나가 바로 ‘통관(Customs Clearance)’입니다.  수출입 모두 통관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상품 지연, 벌금, 과세 오류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수출과 수입 각각의 통관 흐름, 준비 서류, 실무 팁까지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1. 통관이란 무엇인가?통관(通關)이란 수출입 물품이 국가의 관세선을 통과할 때, 세관의 심사를 받고 세금 납부 및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는 과정입니다.이 절차를 마쳐야만 상품을 반출(수출)하거나 반입(수입)할 수 있습니다.✅ 2. 수출 통관 절차📌 (1) 계약 및 출하 준비수출자는 바이어와 무역 계약을 체결한 후, 제품을 준비하고 수출용 포장을 완료합니다.. 2025.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