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목분류 사전심사2 [HS코드 마스터 가이드 ④] WCO 분류 의견과 해석 사례 – 어디까지 믿을 수 있나? HS코드 분류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에 따라야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나라별 해석 차이, 세관 간 이견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때 실무자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바로 "WCO(세계관세기구)의 분류 의견(Classification Opinion)"입니다.이번 글에서는 WCO의 분류 의견이란 무엇인지, 실제 적용된 사례, 그리고 국내 기준과 상충 시의 대응법을 소개합니다. ✅ WCO 분류 의견이란?WCO는 HS코드의 개발 및 관리를 담당하는 국제기구로 전 세계가 사용하는 HS 6단위 체계를 유지·관리하며, 정기적으로 품목 분류 관련 회의를 개최해 다음과 같은 자료를 제공합니다:HS 해설서 (Explanatory Notes)→ HS코드별 정의, 포함·제외 품목, 판단 기준 수록분류 의견 (Cl.. 2025. 4. 10. 이 제품, 관세 8%일 줄 알았는데 20% 나왔습니다 – HS 코드 분류 실수의 대가 밸브 200세트를 남미 바이어에게 수출하기로 한 건입니다.계약 조건은 CFR, 현지 항구 도착 기준으로 최종 가격을 정했고, 바이어와의 긴 협상 끝에 단가와 조건 모두 OK.우리 측은 해당 제품을 HS 코드 8481.80.2090 – 기타 밸브류로 분류했고,해당 국가는 한국과 FTA가 체결되어 있어 특혜세율 8% 적용이 예상됐습니다.문제는 그다음에 터졌습니다.“이건 밸브가 아니라 파이프 피팅입니다.” – 세관의 통보수출은 무사히 진행됐지만, 수입 통관 단계에서 바이어로부터 연락이 왔습니다. “세관에서 관세율이 바뀌었다고 합니다.해당 제품을 ‘파이프 피팅(7307류)’으로 재분류해서, 관세를 20% 매기겠다고 하네요.”갑작스러운 관세 변경에 바이어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고,우리 쪽은 “제품 설명서와 도면,.. 2025. 4.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