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역 관세2 [무역 실무 Q&A 시리즈 5편] 관세는 누가 내는 건가요? 💬 "관세는 수출자가 내는 거 아닌가요?"수출을 처음 해보는 분들이 바이어로부터 이런 요구를 받곤 합니다.“DDP 조건으로 견적 부탁드립니다. 관세랑 세금도 포함해서요.”이때 무역 실무자가 가장 먼저 던지는 질문은 바로 이것이죠.“관세를 수출자가 낸다고? 그게 가능해?”실제로 무역 거래에서 관세를 누가 부담하느냐는 인코텀즈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이번 편에서는 관세의 개념과, 조건별 납세 의무자, 그리고 실무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간단 명료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관세란 무엇인가요?관세는 외국에서 수입된 상품에 대해 수입국 정부가 부과하는 세금입니다.즉, 기본적으로는 수입자(바이어)의 부담이 원칙입니다.그러나 거래 조건에 따라 수출자가 현지에서 수입신고까지 책임지는 경우도 생기는데,바로 그럴 때 관.. 2025. 4. 9. 이 제품, 관세 8%일 줄 알았는데 20% 나왔습니다 – HS 코드 분류 실수의 대가 밸브 200세트를 남미 바이어에게 수출하기로 한 건입니다.계약 조건은 CFR, 현지 항구 도착 기준으로 최종 가격을 정했고, 바이어와의 긴 협상 끝에 단가와 조건 모두 OK.우리 측은 해당 제품을 HS 코드 8481.80.2090 – 기타 밸브류로 분류했고,해당 국가는 한국과 FTA가 체결되어 있어 특혜세율 8% 적용이 예상됐습니다.문제는 그다음에 터졌습니다.“이건 밸브가 아니라 파이프 피팅입니다.” – 세관의 통보수출은 무사히 진행됐지만, 수입 통관 단계에서 바이어로부터 연락이 왔습니다. “세관에서 관세율이 바뀌었다고 합니다.해당 제품을 ‘파이프 피팅(7307류)’으로 재분류해서, 관세를 20% 매기겠다고 하네요.”갑작스러운 관세 변경에 바이어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고,우리 쪽은 “제품 설명서와 도면,.. 2025. 4.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