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관 지연2 [실전 사례로 배우는 계약 리스크 대응 가이드 5편] “선적은 했는데, 수입자가 통관을 못 합니다” – 서류 불비의 책임은? 1. 실전 사례: 선적은 했지만, 통관에서 막혔다금속 부품을 수출하는 I사는 인도 바이어 J사와 거래를 체결하고, 선적도 무사히 마쳤습니다. 그러나 인도 측 세관에서 통관이 보류되었습니다. 이유는 송장(INVOICE)에 HS코드와 품목명이 누락되어 있었고, 원산지 증명서(C/O)도 미제출 상태였기 때문입니다.J사는 통관 지연으로 창고료와 물류 비용이 발생했고, 이를 이유로 I사에 손해배상을 요구하며 일부 결제 지연까지 단행했습니다. 문제는 계약서에서 무역서류의 책임 분담 기준이 불명확했던 것입니다.2. 문제 분석: 무역서류는 '계약의 일부'로 간주해야 한다무역 거래에서 가장 흔한 클레임 원인 중 하나는 수입국 통관 요건 미충족입니다. 실무자들은 종종 서류 작성이 '기계적 처리'라고 생각하지만, 바이어가 .. 2025. 5. 16. [무역 용어 마스터 시리즈 15편] Demurrage(체선료)와 Detention(체화료) 차이 – 물류비 폭탄 막는 실무 가이드 국제 무역에서 화물은 단순히 선적하고 도착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운송 과정 중 발생하는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이 종종 무역 수익성을 위협하곤 합니다.그중 대표적인 비용이 바로 "Demurrage(체선료)"와 "Detention(체화료)"입니다.이 두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적용 시점과 책임 조건이 명확히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Demurrage와 Detention의 차이, 발생 원인, 실무 대처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1. Demurrage(체선료)란?Demurrage는 컨테이너가 항구 또는 터미널에 도착한 후, 주어진 무료 기간(프리타임) 안에 반출하지 못했을 때 부과되는 비용입니다.쉽게 말하면,"항구 주차장에 컨테이너를 너무 오래 세워둔 벌금"발생 시점: 선적 완료 후, 터미널에 .. 2025. 4.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