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p2

[무역 용어 마스터 시리즈 9편] D/P와 D/A의 차이 – 결제 지연을 허용할 수 있을까? 무역 결제에는 T/T와 L/C 외에도 비교적 자주 활용되는 "추심 결제방식(Documentary Collection)"이 있습니다.특히 신용장이 부담스럽거나, T/T 선지급을 꺼리는 바이어와 거래할 때 "D/P(지급인도)와 D/A(인수인도)"는 현실적인 대안이 됩니다.하지만 이 방식은 은행이 단지 서류를 전달하는 역할만 할 뿐, 결제를 보증하지 않기 때문에 수출자의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이번 글에서는 D/P와 D/A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어떤 상황에서 활용하면 좋은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D/P (Documents against Payment) – 지급 인도 조건D/P 방식은 수입자가 대금을 은행에 먼저 지급하면, 수출서류를 인도받는 구조입니다.즉, “돈 먼저, 서류 나중.. 2025. 4. 23.
[무역 실무 Q&A 시리즈 4편] 수출대금은 언제 어떻게 받나요? 💰 수출했는데, 돈은 언제 들어오죠?처음 수출을 시작한 실무자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부분은 바로 “대금 회수”, 즉 돈을 제대로 받을 수 있는지입니다.바이어가 오더를 하고 물건을 보냈는데, “송금했다는데 통장에 돈이 안 들어와요”, “L/C는 안전하다더니 왜 확인할 게 이렇게 많죠?”이런 질문이 생긴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무역 결제방식의 세계에 발을 들이신 겁니다.이번 편에서는 수출자가 실제로 대금을 받는 시점과, 실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결제 방식 세 가지를 중심으로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수출 결제 방식 3가지무역 실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결제 방식은 아래 세 가지입니다.T/T (Telegraphic Transfer) – 전신 송금 방식L/C (Letter of Credit) – 신용장 방식D/.. 2025.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