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IF8

[무역 계약 영문 조항 해설 시리즈 6편] Delivery Terms Clause – 인코텀즈와 연동된 인도조건 조항 해설 1. Delivery Terms(인도조건) 조항이란?Delivery Terms Clause는 상품의 인도 시점, 장소, 비용 및 위험 부담에 대한 조건을 명시하는 조항입니다.국제거래에서는 대체로 인코텀즈(Incoterms) 조건을 사용하여,운송비와 책임의 분기점을 명확히 구분합니다.✅ 이 조항이 없거나 모호하면,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불명확해지고 분쟁 위험이 커집니다.2. 인코텀즈(Incoterms)와 연동된 대표 조항 예시🔹 EXW (Ex Works, 공장인도조건)The goods shall be delivered Ex Works (EXW) at the Seller’s premises in Busan, Korea. The Buyer shall bear all costs and risks in.. 2025. 5. 9.
[수출입 계약서 가이드 시리즈 4편] 인코텀즈 조건 반영법 – FOB와 CIF 실전 적용 방법 1.왜 인코텀즈를 계약서에 명시해야 할까?"인코텀즈(Incoterms, 국제무역규칙)"는물품의 인도 시점, 비용 부담, 위험 이전 시점을 명확히 해주는 국제표준입니다.수출입 계약서에 이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 제 유형설명 운송비 부담선적비용을 누가 내는지 분쟁 발생보험 미가입CIF인데 보험 미포함되었거나 누락수출통관 책임누가 수출 신고를 담당하는지 불분명✅ 정확한 인코텀즈 조건 명시는 계약의 기준을 정리하는 핵심 작업입니다.2. FOB vs CIF – 가장 많이 쓰는 두 가지 조건2.1 FOB (Free on Board)매도인이 본국의 지정 항구까지 운송 및 수출.. 2025. 4. 30.
[무역 용어 마스터 시리즈 3편] FOB와 CIF, 무엇이 다를까? 무역에서 자주 듣는 FOB와 CIF는 모두 "인코텀즈(Incoterms)"에 기반한 무역 조건입니다.둘 다 해상 운송에 적용되는 조건이지만, 비용 부담과 리스크 분기점이 다르기 때문에 무역 계약서 작성 시 매우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됩니다.실제로 많은 수출입 기업들이 FOB와 CIF 중 어떤 조건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물류 비용, 보험 부담, 수익 구조가 달라지며, 심지어 클레임 발생 시 책임 소재까지 크게 달라집니다.이 글에서는 FOB와 CIF의 차이점, 계약서상 주의사항, 실무 적용 예시까지 비교 정리해드립니다.🔍 1. 인코텀즈란?인코텀즈는 국제상업회의소(ICC)에서 제정한 무역 조건의 국제 표준 규칙입니다.운송 비용, 위험 분기점, 보험 부담 등 거래 조건을 명확히 하여 계약 해석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2025. 4. 22.
[무역 실무 Q&A 시리즈 3편] FOB와 CIF, 어떤 조건이 더 유리한가요? 🌍 인코텀즈 조건, 왜 이렇게 복잡할까요?무역을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FOB, CIF입니다.심지어 바이어가 견적 요청할 때 "FOB로 주세요" 또는 "CIF 조건으로 제안 바랍니다"라고 요청하죠.그런데 정작 실무자 입장에서는 FOB와 CIF가 무슨 차이인지, 어떤 게 더 유리한지 몰라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초보 무역인을 위한 FOB와 CIF 조건의 핵심 개념과 차이, 그리고 각 조건이 유리한 상황에 대해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FOB와 CIF는 무엇인가요?이 두 조건은 국제 거래 조건인 "인코텀즈(Incoterms)"에서 정의된 방식입니다.판매자(수출자)와 구매자(수입자)가 어디까지 책임지고, 비용을 부담할지를 명시하는 약속이죠.🚢 FOB  – 선박에 물건.. 2025. 4. 9.
무역 실무에 바로 써먹는 핵심 용어 정리 – 이건 꼭 알고 넘어가자 무역 현장에서는 전문용어가 일상처럼 오고 갑니다.그런데 막상 용어를 정확히 설명하라고 하면, 애매하게 알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특히 영문 약어, 비슷한 개념, 국제거래 관습이 들은실무에서 혼동되면 곧바로 오해와 손해로 이어지기 쉽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무역 초·중급 실무자들이 자주 접하지만, 헷갈리기 쉬운 핵심 용어 10가지를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바로 써먹을 수 있도록, 개념 + 실전 상황 위주로 설명합니다.✅ 1. FOB vs CIF – 인코텀즈 기본 중의 기본FOB(Free On Board): 선적항에서 본선에 적재되면 매도인의 책임이 끝남→ 수출자가 선적 전까지의 비용·위험 부담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보험 포함하여 수입항까지 책임📌 실전 팁:.. 2025. 4. 5.
[무역 입문 시리즈 10편] B2B 무역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과 약어 정리 국제 무역 분야에서는 다양한 전문 용어와 약어가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이러한 용어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원활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과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B2B 무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과 약어를 정리하여 소개하겠습니다.​1. B2B 및 관련 용어B2B (Business-to-Business): 기업 간 거래를 의미하며, 한 기업이 다른 기업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를 말합니다.​MODUBAB2C (Business-to-Consumer): 기업과 최종 소비자 간의 거래를 지칭하며, 기업이 일반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형태입니다.​B2G (Business-to-Government): 기업과 정부 기관 간의 거래를 의미하며, 기.. 2025. 4. 3.
반응형